Move to content area
menu

Taipei Confucius Temple Confucian Culture

글꼴 확대 글꼴 좁은
Number 1.장재(張載)、total 1 picture

장재(張載)

장재(張載: 1020~1077)는 중국 송나라 시대의 사상가이다.[1] 성리학의 기초를 닦았다. 자는 자후(子厚)이다.봉상미현의 횡거진(橫渠鎭) 출신이었기 때문에 횡거 선생(橫渠先生)이라고 호칭된다.[1] 존칭하여 장자(張子)라고 불린다.

어렸을 때에 현의 지사직(知事職)으로 있던 부친을 잃었다.[1] 젊었을 때 범중엄을 회견하고 병사(兵事)에 대해 말하였다.[1] 그때 범중엄은 "유자(儒者)에게는 자연히 명교(名敎: 인륜의 명분에 대한 가르침)를 즐길 만한 것이 있다. 어찌하여 병담(兵談) 같은 것을 좋아하는가"라고 하면서 《중용(中庸)》을 그에게 주었다.[1] 횡거는 거기서 비로소 도(道)를 구할 것을 결심하고 한때 불교 · 노장사상에 들어갔으나 오래지 않아 6경(六經)의 학문으로 돌아왔다.[1] 진사시험에 합격한 후에 지방관으로서 여러 가지 공적을 쌓았다.[1] 그때의 황제인 북송의 신종은 그를 크게 등용하려고 하였으나 당시의 집정(執政: 내각의 최고 책임자)이었던 왕안석과 의견이 맞지 않아서 신병을 이유로 향리에 돌아와 학문과 교육에 힘을 다하였다

장재에 의하여 세워진 기(氣)의 우주론(宇宙論) 또는 기의 철학은 당시의 제가들의 사상과 비교하여 매우 특색있는 것이었다.[1] 장재의 철저한 "유(有)의 이론"은 언뜻 보기에는 주돈이 · 소옹 · 2정자(二程子)의 사상이 《역(易)》의 정신을 기초로 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처럼 보인다.[1] 그러나 그렇지 않으며, 장재의 "유의 이론"의 근저에는 《역(易)》의 "1음(一陰) 1양(一陽), 이것을 도(道)라고 한다"를 중심으로 하는 《역(易)》의 사고방식이 있다

장재의 저술은 《장자전서(張子全書)》에 수록되어 있는데, 《동명(東銘)》·《서명(西銘)》 · 《정몽(正蒙)》 · 《경학이굴(經學理窟)》 · 《역설(易說)》 · 문집 · 어록 등이 이 속에 들어 있다
웹 사이트 만족도 조사